지시약의 이온화 상수 pKa 결과데이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7:21
본문
Download : 지시약의 이온화 상수 pKa 결과데이.hwp
BPB용액의 ε=28300L/mol・cm이고 실험에서 큐벳의 l은 1cm이다. 참고로 BPB(프롬티몰페놀블루)의 분자량은 669.96이다.
[ln]
ε (L/mol・cm)
Download : 지시약의 이온화 상수 pKa 결과데이.hwp( 58 )
28300
1
A
28300
흡광도 측정(measurement)을 한 후 Beer-Lambert Law의 식 A=εcl를 이용해 [In-]를 구한다. 실험에서 완충용액을 각각 3mL씩 이용하였고 BPB용액은 한 방울, 즉 0.02mL를 첨가하였다. 이 때 희석된 BPB용액 농도를 계산해보겠다.
1
l (cm)
① [In-] 구하기
다. 참고로 BPB(프롬티몰페놀블루)의 분자량은 669.96이다. ε (L/mol・cm) l (cm) A [ln] pH 3 28300 1 0.09981 pH 4 28300 1 0.21654 pH 5 28300 1 0.25974 ② 농도변화 계산 BPB용액은 0.1%농도를 이용하였는데 이 용액의 밀도를 1.0g/ml라 생각하고 몰농도로 환산하였다.
순서
28300
experiment(실험)에서 완충용액을 각각 3mL씩 이용하였고 BPB용액은 한 방울, 즉 0.02mL를 첨가하였다.
흡광도 측정을 한 후 Beer-Lambert Law의 식 A=εcl를 이용해 [In-]를 구한다.
0.25974
- 실험데이터 및 결과 분석
0.21654
28300
설명
0.09981
② 농도change(변화) 계산
pH 4
1
실험에서 완충용액을 각각 3mL씩 이용하였고 BPB용액은 한 방울, 즉 0.02mL를 첨가하였다. 이므로 이다. BPB용액의 ε=28300L/mol・cm이고 실험에서 큐벳의 l은 1cm이다.
BPB
0.21654
[ln]
pH 5
pH 3
이므로 이다. 이 때 희석된 BPB용액 농도를 계산해보겠다.
② 농도변화 계산
- 실험데이터 및 결과 분석 ① [In-] 구하기 흡광도 측정을 한 후 Beer-Lambert Law의 식 A=εcl를 이용해 [In-]를 구한다. BPB용액의 ε=28300L/mol・cm이고 experiment(실험)에서 큐벳의 l은 1cm이다. 참고로 BPB(프롬티몰페놀블루)의 분자량은 669.96이다.
이므로 이다.
1





0.25974
지시약의 이온화 상수 pKa 결과데이터
A
pH 4
ε (L/mol・cm)
- experiment(실험)데이터 및 결과 分析
pH 3
28300
28300
0.09981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pH 5
1
BPB용액은 0.1%농도를 이용하였는데 이 용액의 밀도를 1.0g/ml라 생각하고 몰농도로 환산하였다.
1
① [In-] 구하기
l (cm)
BPB용액은 0.1%농도를 이용하였는데 이 용액의 밀도를 1.0g/ml라 생각하고 몰농도로 환산하였다. 이 때 희석된 BPB용액 농도를 계산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