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0:08
본문
Download :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hwp
공동 수상자의 증가 추세
라. 국가별 수상자 추세
마. 2002년도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업적과 의미
ㄱ. Caenorhabditis elegans는?
ㄴ. Sydney Brenner의 업적
ㄷ. John Sulston의 업적
ㄹ. Robert Horvitz의 업적
ㅁ. 올해의 노벨생리의학상은 어떤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 오는가?
5) 2002년 수상자 分析
5. 노벨상과 여성 과학자
5.1. 역대 노벨과학상 수상 여성 과학자
1) 마리 퀴리(Marie Sklodowska - Curie, 1903 노벨물리학상)
2) 괴퍼르트 마이어(Maria Göppert-Mayer, 1963 노벨물리학상)
3) 이렌느 졸리오 퀴리(Irene Joliot Curie, 1935 노벨화학상)
4) 도로시 호지킨 크로프트(Dorothy Hodgkin Crowfoot, 1964 노벨 화학상)
5) 게르티 테레사 코리(Gerty Teresa Cori, 1947 생리의학상)
6) 로잘린 엘로(Rosalyn Yalow, 1977 생리의학상)
7) 바바라 맥클린톡(Barbara McClintok, 1983 생리의학상)
8) 레비 몬탈치니(Rita Levi - Montalcini, 1986 생리의학상)
9) 게르투르드 엘리온(Gertrude Elion, 1988 생리의학상)
5.2. 안타깝게 상을 놓친 여성 과학자들
1) 리제 마이트너
2) 밀레바 마리치
3) 치엔시웅 우
4) 로잘린 프랭클린
6. 정책 제언
6.1 노벨상 수상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 전략(戰略)
6.2 분야 事例: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가능성 제고를 위한 고찰
6.3 최근 노벨상 추세와 Japan의 노벨상 수상 배경
6.4. 제언 요약
7. 출처
8. 부 록
8.1. 노벨상 관련 각종 정관(번역)
1) 노벨재단 정관
2) 스웨덴 과학아카데미 정관
3) 카롤린스카 의과대학 노벨회의 정관
8.2. 노벨재단 주소록
1. 노벨과학상 수상 체계
1.1. 노벨상에 대한 관심과 노벨상에서 얻는 이익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 거부가 된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의 유언에 따라 제정된 상으로, 과학 분야에는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등 3개 분야에서 시상된다 이 상은 그 해에 인류의 복리 증진과 과학에 있어서 가장 커다란 업적을 남긴 최근의 ‘발견’, ‘발명’ 혹은 ‘improvement’ 등을 해낸 사람들에게 주어진다.
1. 노벨과학상 수상 체계
1.1. 노벨상에 대한 관심과 노벨상에서 얻는 이익
1.2. 노벨상 선정 기구
1.3. 노벨상 선정 절차 : 4년이 하나의 주기
1.4. 노벨상 위원회가 노벨상 선정에 미친 influence
1.5. 노벨상을 거절해야 했던 과학자들
1.6. 노벨상이 국제적 명성을 얻은 요인
1.7. alteration(변화) 가 요구되는 노벨상
1.8. 노벨과학상 100년을 기억하는 또 다른 방법
1.9 노벨과학상 만년 후보들
2. 노벨재단 운영 체제
2.1. 노벨상의 제정 과정
2.2. 노벨재단의 재정 운영
3. 노벨 축제
3.1. 노벨 만찬
1) 노벨 만찬에는 누가 초청되는가?
2) 노벨 만찬을 위한 스태프는 어떻게 선발하는가?
3) 만찬의 음식과 음료는 무엇인가?
4) 노벨 만찬 program
5) 거리 꽃장식
6) 수상자들이 머무는 곳
4. 노벨과학상 수상 분야의 history와 present condition
4.1. 노벨물리학상
1) 노벨물리학상 개요
2)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결정 시스템
가. 수상자 결정 기구
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선정 절차
3) 노벨물리학상과 타 학문 분야와의 연관성
4) 1901- 2001년까지의 수상자 分析
가. 수상자의 업적 및 연구 영역
나. 최근 20년간의 수상자 및 업적 분야
다. 노벨과학상운영시스템 ,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
노벨과학상운영시스템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hwp( 75 )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그러나 세계 27개국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한 반면 우리나라에는 아직 1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도 없다. 1901년부터 상을 수여하기 스타트한 노벨상은 지난 2000년까지 100년 동안 노벨물리학상, 17개국 162명, 노벨화학상 19개국 135명, 노벨생리의학상 20개국 172명 등 총 27개국에서 총 469명이 수상을 했다.
우리나라 과학경쟁력은 최근 政府(정부) 및 민간 부문의 획기적인 과학기술 투자 등에 힙 입어 세계 10위 (`02, IMD 과학 경쟁력 평가)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공동 수상자의 증가 추세
라. 국가별 수상자 추세
5) 2002년도 물리학상 수상자의 업적과 의미
가. 우주 중성미자와 중성미자 천문학
나. X-선 천문학
4.2. 노벨화학상
1) 화학은 가치롭지만 지루하다? 복잡하지만 중요하다?
2) 화학의 스타트
3) 노벨화학상, 1901-1915, 1918-1945
4)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목록
4.3. 노벨생리의학상
1) 노벨생리의학상 개요- 어떤 분야에 주는 상인가
2)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결정 시스템 - 수상자는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가?
가. 수상자 결정 기구
나.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선정 절차
3) 노벨생리의학상과 타학문 분야와의 연관성
4) 1901- 2001년까지의 수상자 分析
가. 연구 영역별 수상자 및 업적
나. 최근 20년간의 수상자 및 업적 분야
다.
다.
<표1> 주요 국가별 기초과학 투자비 비교
구 분한 국미 국일 본독 일프랑스총연구 개발비12,249247,001 113,43941,79435,690기초연구비1,54440,22416,3438,8737,844비 율 (%)12.616.314.421.222.0(단위:백만달러)
※ 한국, 미국, Japan `99년, 독일 `93, 프랑스 `96년 자료(data)임
<표2>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국적별 분포 (1901-2000)
국 가 별수상자수(명) 비 율 (%)미국19942.4영국7014.9독일6113.0프랑스265.6스웨덴163.4스위스153.2네델란드122.5러시아112.3덴마크91.9오스트리아81.7캐나다, Japan 7(14) 1.5(3.0)이탈리아61.3벨기에51.1호주3…(省略)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노벨과학상 운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아시아 지역에서도 Japan 10명, China 2명, 인도, 파키스탄 각 1명이 수상했으며, Japan의 경우에는 지난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올해에는 물리학상과 화학상에 2명이나 수상자를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