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와 절대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23:56본문
Download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_3221144.hwp
2) 협의의 정의(定義) : 성적의 결정이다.
2. 예) 이소라 : 수학 30점 ---> 교육측정(measurement)
(기준 : 500점 만점에 mean(평균) 270점)
못했다.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에 대한 자료(data)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에 대한 자료상대평가와절대평가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상대평가와절대평가
,사범교육,레포트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Download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_3221144.hwp( 34 )
교육 평가의 기초
1. 교육 평가의 정의(定義)
1) 광의의 정의(定義) : data(資料)수집의 과정이다.)
.
.
3. 현대 교육평가의 방향 ☆☆☆
1) 현대의 교육 평가는 goal(목표) 지향평가이어야 한다(절대평가 중요시).
2) 현대의 교육 평가는 교수방법의 改善(개선) 에 이바지해야 한다(형성평가 중요시).
3) 현대의 교육 평가는 교육적이어야 한다(잠재적교육과정이 긍정적으로 이바지).
.
.
평가도구의 구비조건(타당, 신뢰, 객관, 신용도) ☆☆☆☆☆
1. 타당도 ☆☆
1) ① 재어보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재었느냐의 정도
② 평가도구가 평가의 goal(목표) 를 반영하는 정도
2) 내용 타당도(goal(목표) , 논리, 안면, 교과, 커리큘럼 타당도)
① 교육goal(목표) 를 잘 반영하는 문항의 제작(표집)의 정도
② 학교에서 사용되는 타당도로서 수치로 계산되지 않으며, 이원목적분류표를 사용하여 확인.
3) 예언 타당도
① 현재의 평가도구가 피검자의 future(미래)생활을 반영하는 정도를 상관계수로 계산
다. -------> 교육평가(측정(measurement)이 되어야 평가가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