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定義(정이) 각 제재에 따른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4:59본문
Download : 6차교육과정.hwp
특히 본 주제에서는 주로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계절 特性(특성)만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시·도의 자연 環境을 축소하여 설명(explanation)함으로서 아동들에게 시·도의 기후 特性(특성)과 우리나라의 보편적 기후 特性(특성)의 혼동을 불러일으킨다.
주제2. 우리 시·도의 자연 環境과 생활
교육과정6차교육과정 7차교육과정교과서 교육자료 / ()
순서
-지역의 지리적 特性(특성)에서 비롯된 생활모습을 다루는 부분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부분으로 주제 2에 들어가야 할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본 주제에서 다루고 있어 주제간 계열성을 떨어뜨린다.
Ⅰ.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definition 각 제재에 따른 비교
설명
교육과정6차교육과정 7차교육과정교과서 교육자료





Ⅲ. 7차 교과서 내용 분석
Ⅲ. 7차 교과서 내용 분석
교육과정6차교육과정 7차교육과정교과서 교육자료 / ()
.......
주제1. 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도의 모습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지역의 지리적 特性(특성) 이해를 목적으로 하지만, 사실상 지도에 관한 단편적 지식전달에 치중하고 있다아 기호를 보는 법과 등고선을 파악하는 법을 배운 후 그것들을 통해 지도를 읽어 지역의 지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아
다. 그러나 자연 環境이라는 개념을 `기후`만으로 한정시켜 다루고 있다는 한계점을 보인다.
-시·도는 행정상의 구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좁은 국토는 행정상의 구분과 상관없이 각 시도와의 자연 環境의 차이가 크지 않다. 또한 지리적 特性(특성)에서 기인한 지역의 생활모습을 나타낼 적합한 제재를 찾지 못했다.
Ⅱ. 제 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Download : 6차교육과정.hwp( 12 )
1. 주제 연계성 및 학습 내용의 적절성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定義(정이) 각 제재에 따른 비교
Ⅳ. 제 7차 교과서 수행평가의 대안제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부분이다. 주제는 시·도의 기후로 두고 있지만 실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우리 나라의 기후 特性(특성)이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기후와 생활`이 주제명으로 적합하다.